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직무대행 서정협) 금천예술공장은 지난해 7월 선정된 9기 입주 예술가의 창작활동을 선보이는 <9기 입주작가 오픈스튜디오>와 기획전시 를 오는 13일(목)부터 공개하고, 개막행사를 14일(금) 연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 미국, 일본, 독일, 슬로바키아, 브라질 등 6개국 19팀 작가가 참여한다. 오픈스튜디오와 기획전시를 중심으로, 입주작가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살펴볼 수 있는 아카이브 스튜디오, 제조업이 밀집해 있는 지역적 특징을 소재로 한 영상작품, 관내 학생들이 예술가와 함께 참여한 퍼포먼스 등 작가와 지역을 더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또한 개막식에서 선보일 프로젝션 맵핑 & 사운드퍼포먼스와 창제작워크숍 등 시민들을 위한 볼거리도 다양하다. 개관 이래 9회째를 맞는 금천예술공장의 <오픈스튜디오>는 1년에 단 한 번, 4일 동안만 입주 작가의 스튜디오(작업실)를 시민들에게 개방하는 특별한 행사다. 오는 13일부터 16일까지 열리는 <오픈스튜디오>에서는 시각예술 분야 국내외 정상급 작가 19팀의 창작과정과 작품세계를 다채롭게 만날 수 있다.
<오픈스튜디오>에서 작가들의 창작과정을 살펴봤다면, 이번엔 완성된 전시 작품을 살펴볼 차례다. 작가 12명(팀)이 참여한 기획전시 는 개막일 13일(목)부터 추석연휴를 제외하고 오는 10월 3일(수)까지 이어진다. 전시 제목은 금천예술공장의 PS333 전시장을 한 바퀴 도는 데 필요한 걸음 수를 뜻하기도 하고, 작가가 작품을 제작하고 관람객에 선보인 후까지 거치는 단계를 뜻하기도 한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시청각(안인용×현시원)의 현시원 큐레이터는 “작가가 고유하게 설정한 물리적이거나 개념적인 사이즈의 원칙 등을 살펴봄으로써, 작품뿐만 아니라 작가의 생각과 활동에 관한 거시적인 조망을 시도했다”라며 전시 기획
의도를 밝혔다. 김동희 작가의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Point Counter Point)’는 자신의 작품을 새로운 공간 구축의 기물로 삼아 제3의 공간을 물리적이고 개념적인 방법으로 제시한다. 최고은 작가의 ‘토르소(Torso)’는 다양한 레디메이드를 공간 안에 새롭게 배치하는 연구이자 실험 과정을 작품으로 제안한다.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냉장고나 책장과 같은 사물의 물리적 특성에 주목하는 작가는 작품을 새롭게 배열하는데서 오는 낯설고 다양한 형태의 감각을 관객에게 선사하고자 한다.
김동희는 전시장에 자신의 작업과 공간 디자인에 사용하였던 작품의 일부를 새로운 재료이자 공간 구축의 기물로 삼아 제 3의 공간을 제시한다. 가로 세로 천정의 높이와 바닥을 이동하는 동선에 이르기까지, 김동희의 신작이 다루는 공간의 물질감은 이미 사용했던 것들로 구조화된 가상 공간이기도 하다. 그가 이 금천 전시장에서 만들어보고자 하는 ‘방’은 건물일까, 전시장일까, 작품일까, 스테이지일까.
위 내용은 전시소개자료에서 발췌하였습니다.
The above is an excerpt from the exhibit introduction.